사주 용어

3. 편재, 정재

운명소설 2023. 4. 19. 23:31
728x90
반응형

 

편재/정재

 

편재(치우칠 偏, 재물 財) - 횡재수, 편법을 통한 재물 등을 의미하며 일간과 음양이 같고

일간이 오행 상, 극하는 글자를 의미합니다.

 

정재(바를 正, 재물 財) - 매달 받는 급여나 정직하게 조금씩 만들어가는 재물 등을 의미하며

일간과 음양이 다르고 일간이 오행 상, 극하는 글자를 의미합니다.

 

일단, 재성은 재물을 의미합니다.

또한, 일간. 즉, 내가 극하는 것이므로 내가 얻고자 하는 것이 재성입니다.

 

결과물, 결실, 흥미로운 것, 재미있는 것, 현실적인 것, 실리적인 것 등등도 의미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정의로운 것도 의미합니다.

 

그래서 정치인 사주 중에 재성이 강한 정치인들이 더러 있기도 한 것이 그 이유입니다.

(매우 실리적이고 냉정할 수도 있게 되므로 재성이 강하다고 해서 무조건 정의롭게 작용하는 것은 아닙니다.)

 

재성은 육친 상, 남녀 모두에게 아버지가 되는데

기본적으로는 어머니처럼 인성이 아버지를 의미합니다.

 

즉, 재성은 금전적인 부분에서의 아버지를 좀 더 의미하게 되겠고

인성은 길러주시고 지원해주시는 형태의 아버지를 의미한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그밖에 재성은 남자에게 여자를 의미하는 글자이기도 합니다.

 

재성은 관과 다르게 사주 명식에서 밖으로 드러나 있지 않고

지장간에 들어가 있는 형태를 좀 더 좋게 봅니다.

 

재물이라는 것은 남들이 잘 볼 수 없는 곳에 담아두고 쓰는 것이 더 좋으니까요.

 

드러나 있거나 천간에 투출돼 있으면 숨겨둔 것보단 좀.. 여기저기로 흩어지기 쉽겠죠.

 

특히, 사주 명식에서 일간이 신약하지 않고, 지장간에 재성도 많은 형태가 되면

재물을 충분히 쥐고 있는 부자 사주로 보게 됩니다.

 

재성이 합이나 형살 등으로 기반이 되거나 꽁꽁 묶이면 사용할 수 없는 것이 되어서 의미가 없게 됩니다.

 

그런데 또, 이렇게 기반이 되거나 묶여 있는 재성이 충으로 다시 살아나게 되면 좀처럼 결실이 없던 부분에서

갑자기 결실이 생기거나, 재물이 훅 들어오거나, 뭔가 발전하는 일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물론, 나에게 좋은 글자가 와서 충하는 것인지.

또, 충으로 기반이 풀리는 게 역으로 불리한 상황을 야기하는 건 아닌지 등을 고려하긴 해야죠.

 

남자 사주에 편재/정재가 혼재돼 있으면 일생 동안, 여자와의 인연이 잦게 됩니다.

 

자신이 바람을 피울 마음이 없어도 운은 어떻게든 작용하기 때문에 계속, 여자와의 인연이나 상황이 발생됩니다.

 

반대로, 남자 사주에 재성이 너무 빈약하면 초라해집니다.

 

무능하고, 빈털터리에 여자도 없고

(그럼에도 스스로 행복하고 만족한다면 상관 없지만요.. 다만, 사주로는 그러합니다.)

 

하지만, 사주 명식에서 재성이 지장간에 딱 1개 있는데 그게 엄청 필요한 형태가 되면 (=용신, 희신)

여자나 재물 등에 심히 집착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근데 또, 아이러니한 것은 사주 명식에 편재/정재가 너무 많으면

여자와의 인연은 잦은데 진짜 내 여자가 없게 됩니다.

 

이러한 사주를 재다신약이라고 하는데 여자를 붙잡거나 붙잡고 유지할 힘이 약한 거죠.

(이는 재성이 의미하는 모든 것에 다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운에서 비견/겁재나 인성 운이 와 주면 그럴 때 재성을 붙잡을 파워가 생기는 거죠.

 

사실, 그래서 너무 신약한 재다신약 사주는 자신의 뿌리가 되어 줄 글자가 올 때 비열함이 발생될 수 있습니다.

 

재성을 그림의 떡이라고 여기며 체념한 채 바라만 보고 있다가 갑자기 무기가 생기면 욕심이 생기겠죠?

 

상당히 이기적으로 돌변할 수도 있습니다.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체로 그럴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사주 명식에 재성이 많은 것과 적은 것.

 

둘 중에 어떤 경우가 더 나을까요?

 

역시, 그래도 재성이 많은 게 낫겠죠.

 

사주 명식에 재성이 많아서 신약해져도 많은 것이 재물이나 여자 쪽으로 더 인연이 잦게 되니까요.

 

또, 재성이 조금이라도 있어야 재성을 취하기 위해서 움직이게 됩니다.

 

운에서 재성 운이 들어오면 바쁘고 빠르게 움직이게 됩니다.

 

마음적으로 뭔가 돈 벌러 나가고 싶고 슬슬, 뭔가에 대한 결과를 내고 싶고, 뭔가 만들어 보고 싶고,

놀고 싶은 마음 등등..이 들게 됩니다.

 

..이 때는 공부 같은 것은 잘 안 하려고 합니다.

 

공부는 자신을 제어하고 억누르고 그래야 하는데 그 반대가 되니 역시, 반대로 작용하는 거죠.

(재성은 인성을 극하기도 하고요.)

 

여자 사주는 관을 가장 우선으로 보고, 남자 사주는 재를 가장 우선으로 보는데

여자에게 관이 남자가 되고, 남자에게 재가 여자가 되기 때문입니다.

 

728x90
반응형

'사주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식신, 상관  (0) 2023.04.13
1. 비견, 겁재  (0) 2023.04.12